소액 예산이라도 유의미한 도달과 조회는 가능하다. 유튜브 광고 비용 구조만 이해하면 예산 대비 결과를 예측하고 설계를 바꿀 수 있다.
하루 5만~20만원이면 유튜브 광고 비용이 어디에 쓰이나?
- 스킵 가능한 인스트림은 보통 CPV(유효 조회당 비용)로 계산한다.
- 범퍼·논스킵형은 tCPM(천 회 노출당 비용) 입찰을 쓴다.
- 같은 예산이라도 타겟 범위, 경쟁도, 영상 후킹에 따라 단가가 달라진다.
- 예산을 잘게 나누면 학습이 길어진다. 하루 최소 5만원 단위로 집중시키는 편이 낫다.
예산→성과 간단 계산식
- CPV 모델: 예상 유효 조회수 ≈ 일 예산 ÷ CPV
- tCPM 모델: 예상 노출수 ≈ 일 예산 ÷ (CPM/1000)
예) 일 100,000원, CPV 70원이면 유효 조회 약 1,428회.
예) 일 100,000원, CPM 8,000원이면 노출 약 12,500회.
유튜브 광고 비용 기준값은 어느 정도일까? (형식별 평균 단가)
아래 수치는 국내 일반 타겟 기준의 범위 값이며, 업종·시즌·크리에이티브 품질에 따라 변동한다.
- 스킵 가능 인스트림(Video View 중심)
- CPV: 30~120원
- 평균 보기율: 15~35%
- 특징: 조회 확보와 인지 확대에 유리
- 인피드(옛 디스커버리)
- CPV: 50~150원
- 클릭 의도에 따라 변동 폭이 큼
- 범퍼(6초)·논스킵(15초)
- tCPM: 5,000~15,000원(범퍼), 10,000~25,000원(논스킵)
- 특징: 짧고 넓은 도달
- 쇼츠 인벤토리
- CPM: 3,000~10,000원
- 후킹과 반복 노출에 강점
- 전환 지향 Video Action
- 입찰: 최대 전환수 또는 tCPA
- CPA는 업종 의존도가 높다. 초기 1~2주는 조회·클릭 신호를 쌓아야 안정된다.
예산 구간별 세팅 흐름(5만/10만/20만원)
예산을 나누기보다 한 캠페인에 모아 학습 신호를 빠르게 모으는 편이 좋다.
- 하루 5만원
- 캠페인: 인스트림 CPV 또는 쇼츠 CPM
- 타겟: 광범위 + 관심사 1~2개 신호만 추가
- 크리에이티브: 1종 집중, 후킹 5초 강화
- 목표: 조회 단가 확인, 보기율 20% 이상 목표
- 하루 10만원
- 캠페인: 인스트림 CPV + 인피드 병행(Ad group 분리)
- 타겟: 광범위, 리마케팅 1개 그룹 별도 구성
- 크리에이티브: 2~3종 교차, 썸네일·타이틀 A/B
- 목표: CPV 안정화, 리마케팅 CPA 관찰
- 하루 20만원
- 캠페인: 인스트림 또는 쇼츠 + 범퍼 혼합
- 타겟: 광범위, 리마케팅, 키워드·주제 세그먼트 1개 추가
- 크리에이티브: 3~4종 로테이션, 6초 범퍼 별도 제작
- 목표: 도달과 빈도 균형, 브랜드 검색량 증감 체크
필수 세팅 체크리스트
- 빈도: 범퍼·논스킵은 주 3~5회 제한
- 지역/언어: 실제 고객권역만 남기고 나머지 제외
- 콘텐츠 제외: 어린이, 민감 카테고리 제외
- 기기/네트워크: 초반에는 전체, 데이터 쌓인 뒤 조정
- 전환 측정: GA4 + 전환 태그 이중 점검
유튜브 광고 비용을 낮추는 타겟·입찰 운영 팁
- 타겟 풀을 과도하게 좁히지 않는다. 좁을수록 CPV·CPM이 튄다.
- 맞춤 세그먼트는 1~2개만. 관심사, 검색 의도 기반 신호를 가볍게 얹는다.
- 리마케팅은 예산의 10~20%로 별도 운영한다.
- CPV가 오르면 입찰을 강하게 낮추기보다 소재를 갈아 끼운다. 후킹과 첫 5초 메시지가 변수다.
- 인피드는 썸네일·제목 영향이 크다. 클릭율 하위 30%는 정리한다.
- 범퍼는 브랜드명·핵심 혜택·시그니처 컷 3요소만 넣는다.
실제 예시와 계산표(현장 적용)
- 로컬 학원 브랜딩, 하루 5만원, 인스트림 CPV
- 예상 CPV 60원, 유효 조회수 ≈ 833회
- 보기율 25% 가정 시, 30초 이상 시청 약 208회
- 팁: 반경 5~8km, 학부모 관심사 신호 1개만 추가
- 쇼핑몰 신상품 알림, 하루 10만원, 인피드 병행
- 인피드 CPV 80원 가정, 유효 조회수 ≈ 1,250회
- 썸네일 2종 A/B, 클릭율 1.5%→2.2%로 개선 시 CPV 하락
- 팁: 상품 USP를 썸네일 텍스트 10자 내 표시
- 프랜차이즈 가맹문의, 하루 20만원, 범퍼+tCPM
- CPM 9,000원 가정, 노출 ≈ 22,222회
- 빈도 주 4회 제한으로 중복 노출 억제
- 팁: 6초 내 ‘가맹문의 0XX-XXXX, 수익·지원’ 핵심만 말하기
크리에이티브 구조 템플릿
- 0~5초: 브랜드·문제 제기·혜택 중 2개를 즉시 노출
- 6~15초: 증거(숫자·후기·비교), 사용 장면 1컷
- 16~25초: 오퍼·마감·지역성
- 26~30초: 콜투액션, URL·쿠폰 코드
자주 묻는 질문과 유의점
- 조회수 vs 전환, 무엇을 먼저 볼까?
- 초기 1~2주는 조회·클릭 신호가 먼저다. 이후 전환 모델로 전환한다.
- CPV가 갑자기 올랐다
- 시즌성·경쟁 상승 가능성. 타겟을 넓히고 새 소재 2종을 투입한다.
- 소액 예산인데 캠페인을 나눌까?
- 하루 10만원 이하라면 하나로 모으고 광고그룹에서 분기한다.
- 영상 길이는?
- 15~30초 1종, 6초 범퍼 1종을 함께 준비하면 범용성이 높다.
- 유튜브 광고 비용이 낮은 시간대가 있나?
- 절대값 보장은 어렵다. 다만 새벽·오전 초반에 테스트 단가가 낮아지는 계정이 종종 있다. 계정별 로그로 판단한다.
핵심 포인트 정리
- 유튜브 광고 비용은 형식에 따라 CPV 또는 tCPM으로 계산된다.
- 하루 5만~20만원 예산이라면 한 캠페인에 집중해 신호를 빠르게 쌓는다.
- 타겟을 과하게 좁히지 말고, 소재 회전을 빠르게 가져간다.
- 계산식으로 결과 범위를 먼저 산출한 뒤, 빈도·지역·소재를 조정한다.